SW 역량평가 플랫폼 소개


SW 역량평가 플랫폼
- 비전공자부터 전공자까지 모든 수준의 학습자를 진단(평가)할 수 있는 정량/정성 진단 평가
- 모든 수준의 학습자를 진단(평가)하고 학습으로 자동 연계
- 전교생이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수준별 맞춤 학습을 실현함으로써 구성원 전체의 역량 강화
- 진단(코딩 테스트) 및 학습을 모두 제공하여 반복 학습으로 빠르게 레벨 업 가능
- IT 기업 입사시 필수 항목인 코딩 테스트를 수시로 볼 수 있어 취업 준비에 도움
- 학생들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커리어 디자인 센터에서 교과/비교과 수강 상담 제공
SW 역량평가 COEIC 역량 표준 테이블
레벨 및 점수 | 역량 |
---|---|
Level 1 : 0 > 200 | 학습자는 기본적인 지시사항을 이해하고, 이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변환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습니다.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단계이거나 코딩 테스트 형태의 문제에 대한 지식이 전무합니다. 프로그래밍 문접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학습이 요구됩니다. |
Level 2 : 200 > 400 | 학습자는 매우 기초적인 컴퓨팅 사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, 이를 활용해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문법을 적용한 구현이 가능합니다. 간단한 지시사항을 코드로 옮길 수 있으나, 동작 원리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부족합니다. |
Level 3 : 400 > 600 | 학습자는 기초적인 컴퓨팅 사고를 바탕으로 컴퓨터가 연산을 처리하는 방식을 이해합니다. 기본 프로그래밍 문법에 익숙해지며, 간단한 논리를 필요로 하는 코드 작성이 가능합니다.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과 그렇지 않은 작업을 완전히 구분하지는 못합니다. |
Level 4 : 600 > 800 | 학습자는 복잡한 상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적인 문제로 분할하여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었습니다. 통상적인 알고리즘 지식을 습득하고, 이를 코드로 구현할 수 있는 단계에 있습니다. 알고리즘 지식 수준에 따라 프로그램의 효율성에 차이가 나타납니다. |
Level 5 : 800 > 900 | 복잡한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최적의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설계, 구현, 수정 능력을 지닌 상태입니다. 고급 자료 구조 및 알고리즘의 활용 능력에 따라 설계 능력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. |
Level 6 : 900 > 990 | 학습자는 프로그래밍 관련 대회에 참가할 수 있는 수준으로, 고급 컴퓨팅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. 이 단계는 프로그래밍 및 알고리즘 분야의 심화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필요로 합니다. |
SW 역량평가 활용 가이드
- 역량평가 서비스페이지(https://inha.codetree.ai) 이동
- 「로그인/회원가입」 클릭
- 「새계정 만들기」 클릭 (이미 계정이 있다면 생략)
학교 이메일 계정으로 계정 생성 필수!! (Google G Suite 신규가입 대상 안내)
- 크롬 브라우저로 https://cloud.inha.ac.kr 에 접속
- 인하 포털시스템 계정 로그인
- 최초 사용자는 모든 아이콘이 흑백으로 표시됨 → GMAIL 버튼 클릭
- 서비스 이용 약관 및 개인정보 처리방침 동의 후 다음 클릭
- 희망하는 ID 입력 → G Suite 계정 생성
- 계정생성이 완료되면 GMAIL 앱 클릭
- Google 서비스 약관 동의 → G Suite 앱 접속
- 학생 메일 인증 (인하대학교 이메일 입력 필요)
- 인증 메일 발송 후 본인의 학교 이메일에서 인증 완료
- 학교 정보 연동을 위한 ‘실명’ 입력
- 「연동완료」 클릭